루시블로그

안녕하세요 오늘은 퀴노아 효능 과 부작용 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퀴노아 는 명아줏과에 딸린 일년생 식물로, 그 역사는 칠천년 쯤 전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당시 남미 안데스 산맥 고원지대에서 살던 이들이 그 씨앗을 먹었답니다. 페루, 볼리비아, 에콰도르, 칠레가 여기에 해당합니다. 당시 무덤에서 퀴노아가 발견되었다네요.


스페인 사람들이 남미에 들어온 후 이 곡물은 잉카 지역을 벗어나 널리 퍼졌으며, 현재는 70여 개 국에서 재배되고 있습니다. 가장 큰 산지는 페루이고, 볼리비아가 그 뒤를 잇습니다. 이 두 나라에서 생산되는 양이 전 세계 생산량의 92%에 해당한다고 합니다.


퀴노아라는 이름의 뜻은 잉카어로 ‘곡물의 어머니’라는 의미라고 합니다. 잉카인들이 ‘곡물의 어머니’라고 부를 만큼 가치가 있었다는 것이지요. 그런데 이제 고대인들의 식량이었던 퀴노아가 다시 많은 사람의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그것은 건강에 좋은 성분들이 풍부하게 들어 있기 때문입니다.



퀴노아 효능

1. 섬유질 풍부

퀴노아 에 들어 있는 섬유질의 양은 대부분 곡물에 들어 있는 양의 두 배에 이른다고 합니다. 섬유질이 우리에게 주는 효능 은 다양합니다. 소화를 돕고 변비를 막아주며, 포만감을 오래 지속시키는데 식욕을 줄여, 체중 감량에 도움이 된다고합니다.

또한, 섬유질에는 콜레스테롤과 혈당의 수준을 낮추는 효능이 있어서, 심혈관 질환과 당뇨와 같은 질병에 효능 이 있습니다.


2. 단백질 풍부, 소화

퀴노아 는 쌀과 비교했을 때 두 배가 넘는 단백질을 함유하고있습니다. 또한, 퀴노아에는 모든 필수 아미노산이 다 들어 있습니다. 필수 아미노산이 모두 들어 있는 음식을 완전 단백질 식품이라 부르는데, 퀴노아가 여기에 해당합니다. 필수 아미노산은 우리 몸에서 합성이 되지 않기에, 꼭 섭취해야 합니다.

또한 퀴노아에는 불용성 단백질인 글루텐이 들어 있지 않아 글루텐으로 인한 소화불량과 같은 증상이 있는 이들에게는 좋은 효과를 보인다고 합니다.


3. 심혈관 질환, 당뇨병

퀴노아 약 100g에 들어 있는 지방의 양은 6.3g이라고 합니다. 이중 절반가량이 다불포화지방산인 오메가3 지방산과 오메가6 지방산인데, 이 지방산들은 우리 몸에서 만들어지지 않는 필수 지방산이어서, 우리가 꼭 섭취해야 하는 지방산입니다. 오메가3 지방산은 심혈관 질환과 당뇨병에 좋고, 각종 염증에 대응하는 등 우리가 건강하게 살아가는 데 꼭 필요한 지방산이라고 합니다.




4. 신진대사, 피로회복

퀴노아 100g에 들어 있는 철분의 양은 13.2mg이고, 쌀 100g에 들어 있는 철분의 양은 0.7mg입니다. 비교할 수조차 없을 만큼 차이가 납니다. 철분은 적혈구를 건강하게 하고, 헤모글로빈을 만드는 데 매우 중요한 성분 입니다.

철분은 우리 몸에서 신경 전달 물질을 합성하고, 체온을 조절하며, 효소 활동과 에너지 대사를 돕는 등 많은 효능 이 있습니다.


5. 풍부한 미네랄, 비타민

퀴노아 에는 각종 미네랄이 다른 곡물에 비해 풍부하게 들어 있습니다. 특히, 철분과 마그네슘과 아연을 섭취하기에 아주 좋은 곡물 입니다. 또한, 리보플라빈, 엽산, 티아민, 비타민E등 비타민 류도 풍부하게 들어 있습니다.


6. 풍부한 마그네슘

100g에 들어 있는 마그네슘</a>의 양은 249.6mg이고, 쌀에 들어 있는 마그네슘의 양은 73.5mg입니다. 이 역시 상당한 차이가 있습니다.

마그네슘의 효능 은 다양하고 중요합니다. 혈액이 원활하게 순환하도록 돕고, 혈당을 관리하며, 뼈를 튼튼하게 하고, 체온을 유지하고, 해독작용을 하는 등 각종 대사 작용을 돕습니다. 퀴노아 100g에 들어 있는 마그네슘의 양은 일반적인 하루 권장 섭취량의 절반에 해당하는 양이라고 합니다.


7. 풍부한 아연

아연은 우리 몸에서 세포 증식과 성장뿐만 아니라 면역과 각종 대사에도 관여하는 중요한 성분입니다. 아연의 일반적인 하루 권장 섭취량은 10~12mg이라고 합니다. 약 100g에서 하루 권장 섭취량의 35% 이상을 얻을수 있다고 합니다.




8. 풍부한 칼슘

칼슘은 우리 몸에 가장 많은 미네랄입니다. 칼슘이 부족하면 많은 문제가 발생하는데 칼슘의 효능이라 하면 우리는 흔히 뼈를 튼튼하게 하는 일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그밖에도 칼슘이 하는 일은 매우 많은데 심장 박동을 조절하고 근육 수축과 이완을 조절하며 신경을 전달하는 등 매우 중요한 역할에도 관여합니다. 칼슘의 일반적인 하루 권장 섭취량은 800mg입니다. 퀴노아 약 100g으로 하루 칼슘 권장 섭취량의 18%를 섭취하실 수 있습니다.


9. 항산화 작용

퀴노아 에는 비타민B군과 비타민E가 풍부하게 들어 있고, 항산화 성분인 플라보노이드 를 다량 함유하고있습니다. 이 성분이 우리 건강에 주는 효능은 상당한데 심혈관 질환, 암, 골다공증, 당뇨병 등 많은 질병에 대응합니다. 또한, 이 곡물에 들어있는 항산화제는 만성적인 질병의 원인인 염증에 대응하는 소염 작용으로 우리 몸을 지킵니다.</p>


퀴노아 부작용

퀴노아 에는 칼륨 함량이 많은데, 칼륨이 우리 몸에서 나트륨을 배출하는 역할을 하는 등 건강에 좋은 작용을 하지만, 신장에 문제가 있는 이들에게는 부작용이 작용할수도 있다고합니다.


퀴노아의 겉 껍질에는 사포닌이라는 성분이 존재하는데 콩과 같은 식품의 사포닌은 먹을 수 있는 식물성 영양소로 건강에 좋지만 퀴노아의 사포닌은 말이 다릅니다. 쓴 맛이 나고 소장을 손상 시킬수도 있으며 부작용이 있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대부분의 퀴노아 제품은 사포닌 성분을 제거한 것이지만 남아 있을 수도 있기 때문에 조리 하기 전에 한번 더 씻어주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 해당 성분을 씻어낸 제품인지 확실치 않다면 깨끗한 물에 여러번 씻어 내야 한다고 합니다.

**님 지금 신청 완료되었습니다.

선착순 혜택 50명 남았습니다. 서두르세요!